높은 분양가, 납입인정액 25만원으로 상향 등의 이유로 주택청약의 매력도에 예전에 비해 많이 감소했죠. 저 또한 부동산 상황과 제 개인적인 상황을 고려해서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해지를 결심했는데요. 자세한 해지방법과 후기를 공유할게요.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해지방법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KB국민은행 앱으로 또는 비대면으로 해지가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필요서류를 들고 지점을 방문해야만 해지할 수 있어요.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해지 시 필요서류
- 신분증
- 지방세 세목별 (미)과세증명서 - 전국단위, 가입연도부터 해지연도까지
- (청년 우대형 세대주 예정자로 가입한 경우)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는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주민등록등(초)본은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발급할 수 있습니다. 두 서류 모두 주민센터에서도 현장 발급가능해요.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
먼저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상단 메뉴에서 [발급] → [문서발급 안내 및 발급]을 클릭합니다.
로그인을 한 뒤 [지방세 미과세증명서]를 클릭해주세요.
과세년도는 청약통장 가입연도와 해지연도를 입력하면 됩니다.
관할 자치단체는 현재 거주지 기준 시/도, 시/군/구를 선택한 뒤 전국선택을 반드시 체크해주세요.
세목은 재산세의 주택을 선택하고, 사용목적은 은행제출용으로 기입해주세요.
이렇게 발급한 지방세 과세증명서를 은행에 제출하면 됩니다.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이 필요한 경우
만약 세대주 예정자로 가입했다면 해지 시에 우대금리가 적용됩니다. 이를 위해 세대주임을 증빙할 수 있는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이 필요합니다.
현재 세대주인 상태에서 청약통장을 해지할 경우에는 주민등록등본이 필요해요. 이전에 세대주였지만 현재 세대원인 경우 아쉽게도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
청약통장 해지를 고민하고 있다면 본인이 독립해서 세대주인 상황일 때 하는 것이 좋아요. 저는 이전에 세대주였지만 현재는 세대원이라 우대금리는 적용받지 못했습니다.
11,000,000원을 저축한 결과 소득세 제외하고 121만원의 이자를 받았어요. 청약통장을 끝까지 유했으면 좋았겠지만 여러 상황상 해지를 하게 되어 아쉬운 마음이 컸지만 이자 덕분에 마음이 조금 달래졌어요.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해지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제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